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자.
꼭 이번 정권이 아니더라도 청년들에게 주어지는 헤택은 늘 있었다.
요즘엔 고령화가 갈수록 극심해지고 저출산 까지 겹쳐 현재의 청년들이 버텨내야 할 몫이 크다.
때문인지 청년들을 대상으로 주거문제, 취업문제 등 현실적인 복지혜택이 사회적 이슈가 된다.
특정계층은 복지사각지대로 몰리기도 하고, 그로인한 세대간 갈등도 만만치 않다.
그런 와중 정부에서 이번 달 내로 청년도약계좌를 출시 할 모양이다. 정확한 금리도 오늘 중으로 확정 공시 할 예정이다.
기사를 읽어보니 기여금,납입금은 무슨 차이인건지 헷갈리게 적어둔 것 같다.
무조건 5,000만원을 만들어주는건지?
그럼 최저연봉자의 납입한도는 월 40만원인데 40만원을 5년만 납입하면 정말 5천만원을 만들어주는건지?에 대한 설명이 없었다.
그래서 직접 정부 발표내용을 찾아보고 아래 정리 하였다.
1. 대상 : 만 19세 ~ 만 34세 소득기준 충족자(병역 이행자면 만 36세 까지 가입 가능함)
2. 소득기준 : 총 소득 7,500만원 이하
3. 기여금 : 딱 정확하게 말해서 최대 월 2만 4천원이다.
- 소득에 따라 다르지만 2,400만원 이하 대상자가 월 40만원만 납입해도 2만 4천원을 매칭하여 추가납입(기여) 하여준다는 의미이다. 30만원, 20만원 납입하면 기여금이 줄어드는 구조인 셈이다.
- 마찬가지로 6,000만원 이하 소득구간은 월 70만원을 납입해야 기여금이 2만 1천원으로 최대 매칭금을 기여받을 수 있다.
- 6천만원 초과는 기여금은 별도로 없으며 비과세 혜택만 적용받는다.
4. 금리 : 사업에 참여한 12개 은행이 대부분 3.5%의 기본금리에 우대금리 2.5% 안팎을 제공해서 총 6% 안팎의 금리를 적용하는데, 기업은행이 6.5%로 가장 높다. 하지만 은행들 마다 우대금리 조건이 공과금/지로 등 납입조건이 있어서 그냥 평소 거래하는 은행에 가입하는 것이 좋아보인다.
5. 가입기간 : 총 5년인데 3년은 고정금리이고 2년은 변동금리이다.
5. 신청절차 : 월 초 2주간(1일~12일) 신청을 받고, 내부심사기간 2주를 거쳐 가입된다고 한다.
결론 : 소득 2,400만원 이하 대상자라면 무조건 40만원 적금 가입을 추천한다. 정부 의도대로 5천만원 목돈까지는 힘들겠지만,
1. 월 40만원 * 60개월(5년) = 24,000,000원(원금)
2. 2.4만원(기여금) * 60개월 = 1,440,000원(기여금)
3. 42.4만원 5년 6.5% 적금 시 만기 이자 =4,688,077원(비과세)
4. 총 수령액 = 30,128,077원이다.
역으로 계산 해 보니 이는 월 40만원 납입 적금상품을 연 이율 10%(일반과세, 월복리)로 계산 한 것 보다 약간 높다.
'돈이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화 900원 역대급 하락)엔화와 달러와의 관계, 일본 엔화 투자 준비해야 하는 이유 (7) | 2023.06.27 |
---|---|
연 15% 수익 모햇(Mohaet) 투자해도 괜찮을까?(태양광사업, 원금보장?) (8) | 2023.06.23 |
무인아이스크림 창업하면 돈이 될까?(창업비용, 마진율, 순수익) (0) | 2023.06.11 |
테슬라 모델3 롱레인지 차량 1년 유지비 (0) | 2023.03.30 |
4.1% 파킹통장 추천(광고아님, 실제 경험담)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