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주식 이야기30 Slg 폭등(9.79%) 이유 3/29(수) SL green 주가가 모처럼 크게 뛰어올랐습니다. 3.44%로 시작한 주가상승은 장 중 10%를 돌파하고 결국 9.79%에 마감하였습니다. 상승이유는 크게 4가지 입니다. 1. [너무 많이 내려서] • 이달들어 SLG 주가는 전달 대비 -44%를 기록하는 등 엄청내렸다. 상업용리츠가 위혐하다며 온갖 안좋은 뉴스가 도배됐고 공매도가 판을 쳐 RSI가 무려 14까지 떨어진 결과다. 현재는 저점 대비 약 17% 반등하였고 RSI도 30정도로 올라섰다. 2. [배당락] • 3/30(목) 배당락을 하루 앞두고 주가가 크게 반등하였다. SLG는 매월 배당을 실시하며 주당 약 0.2708$를 분배한다. 현 주가(22.3793$) 대비 배당률은 약 14%에 달한다. 3. [내부자 매입 공시] • CFO.. 2023. 3. 30. 미국 상업용오피스 리츠(상업용부동산) 투자상품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 상업용 오피스리츠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저는 SL Green 이라는 회사에 투자중인데요. 최근에 주가가 너무 많이내려서 이게 회사의 문제인지? 아니면 업황 전체의 문제인지 잘 분간이 안 서더라구요. SL Green 회사의 주가는 한 달여간 만에 반토막이 났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회사만의 문제일까요? 아니면 미국의 부동산 업황이 정말 그토록 어려운것일까요? 먼저, 제가 조사한 미국 오피스리츠 종료를 안내하여드릴게요. 1. UNIT(유니티그룹) 2. HPP(허드슨 퍼시픽 프라퍼티스) 3. MPW(메디컬 프라퍼티스 트러스트) 4. SLG(SL Green) 5. DEI(더글라스 에밋) 6. HIW(하이우즈 프라퍼티스) 7. VNO(보나도 리얼티 트러스트) 8. C.. 2023. 3. 29. 뉴욕부동산 이대로 끝인거니? 정말? (SLG 투자기회?)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투자관련 글을 남기네요. 최근 불거진 경제이슈 중 최고 자극적인 내용은 단연 '은행파산'일 것입니다.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담보물 가격이 하락하고 이에 대한 은행 안정성 이슈가 불거지자 뱅크런(예금인출)이 일어난 것인데요. 스마트폰을 통한 손쉬운 뱅크런은 미국에서 16번 째로 큰 SVB를 며칠만에 파산시켰습니다. 정부가 개입하고 다른 은행들이 지급보증을 하며 은행 파산 이슈는 조금은 진정 된 것처럼 보이는데요. 다음으로 상업용오피스리츠들이 위험하다는 뉴스가 연이어 보도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공매도율, 풋옵션이 치솟아 주가는 3월 한 달여 만에 절반 가까이 빠져버렸네요. 여러종목 중 제가 투자하고 있는 SLGreen 회사의 주가가 가장 많이 빠진 듯 합니다. 포트폴리오가 뉴욕 고층빌딩에.. 2023. 3. 26. 대니머 이제 갈 때 되지 않았니? Feat. Dnmr 15,748주 ! 대니머! 이젠 갈 때 되지 않았니? 어젠 무려 -9.46%가 하락했다.(2.01$) 전저점 2.1$를 넘어 2$벽 앞에 멈춰 선 모양새다. 이유가 무엇일까 특별한 악재라도 있을까 싶어 검색 해 보았지만 별다른 뉴스는 없다. 아마도 공매도의 영향이라고 보여진다. 11/15 3.24$을 마크했던 dnmr 주식은 불과 15거래일 만에 -37.96%의 하락을 기록하고 있다. 과거에 불안한 마음을 달래려 썼던 글을 찾아보니 현재 주가의 5배,10배가 넘는 가격에도 행운을 빌었다. 12월엔 산타가 부디 낙폭과대 섹터(중소형주, 배당리츠주)로 찾아와 주가부양을 이끌어 주길 바랄뿐이다. 어느덧 현재 보유한 dnmr 주식수로 0.016% 정도의 지분을 확보한 셈이다. 주가가 5$, 10$ 이상을 회복하여 계좌가 붉은빛으.. 2022. 12. 7. 지수를 이기는 투자?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 남기네요. 포스팅을 하고 나면, 매 번 흐름이 좋아서 익절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운도 따랐겠지만 제 스스로 마음을 다잡아 그 기회를 기다릴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오늘이 입춘이라고 하네요. 오늘 날은 많이 풀린 것 같은데 계좌도 빨갛게 달아오르길 바랍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저번 달 연봉에 가까운 금액을 손절하곤 잠깐 나스닥시장에서 빠져있었네요. 나이에 비해 투자금이 너무 큰 것일까요. 작년까지는 어찌저찌 매년 수익을 내 왔었는데 올 해는 녹록치 않겠구나 싶었습니다. 1월 저점 후 일주일 간 나스닥 랠리를 보며 한 번은 더 13,000point대가 올 것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전 401k와 달러의 풍부한 유동성을 믿기에 과감히 나스닥에 short(sqqq) 베팅 할 배짱은 없어.. 2022. 2. 4. '21년도 한 해 마무리(나녹스 손절?) 며칠 늦었지만 2021년도 한 해를 정리하고자 한다. 2020년 본격적인 미국주식 투자를 시작하며 약 7천만원의 실현손익을 거두었었다. (돌이켜보면 시운이 좋았던 것이지만) 첫 시작은 좋았다. 1월 tsla를 스윙 하여 800만원 정도 벌었다. 곧이은 다음은 더 좋았다. Eh. 이항이라는 중국주식으로 약 천 만원을 벌었다. 이 쯤 되니, spy, qqq 등 지수추종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바보 같아 보였다.(eh는 보름 보유하고 100% 수익을 거두었는데 지수는 겨우 1~2% 내외 상승이었으니 말이다.) 그렇게 1월 실현손익이 +2,000만원 이었다 한참 잔고 기록남기며 스크린샷 찍을 때가 매도타이밍이라는 것을 그 땐 몰랐다. 아니 내 일인줄은 몰랐다. 이후 안 사본 종목이 없다. nndm, bngo, xp.. 2022. 1. 5.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