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8

단락전류 여자전류의 의미와 측정방법 쉽게 이해하기(변압기 극성) 며칠 전 포스팅에서 전류와 전압의 위상관계에 대해 포스팅하였는데, 이번엔 좀 더 깊이 들어가 '단락전류' '여자전류'에 대해 쉽게 설명해보려 한다. 전기설비 중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것 중 하나가 변압기 일 것이다. 한전에서 수전받은 전기를 우리가 사용하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주는 설비이기 때문이다. 이 변압기가 건전한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단락전류'를 측정한다. 1. 단락전류란 : 전기기사 실기 기출문제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이다. 전로 선간에 임피던스가 작아졌을 때 그 부위로 유입되는 큰 전류라고 풀이했던데 말이 어렵다. 쉽게 설명해서 'A상'과 'B상' 혹은 'C상' 중 2개 이상의 선이 서로 부딪히는 고장을 '단락고장'이라고 한다. 이때 흐르는 전류를 단락전류라고 부른다. '2개 상'이 부딪히면.. 2023. 7. 4.
[전기기사] CT 변류기에 대한 완벽 이해(명판, 오차계급, 정격, 부담) 대부분의 산업기기가 그러하듯 전기기기도 중요한 스펙들은 명판에 기입한다. 따라서 CT명판을 이해하는 것은 생각보다 아주 중요한 기본인셈이다. 하지만, '부담' '계급' 등의 용어들이 생소하기 때문에 자꾸 까먹게 된다. 실제로 현업에서 활용되는 내용을 곁들이면 한결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이번시간엔 CT와 명판 속 파라미터들을 아주 쉽게 이해하는 포스팅을 해 보려 한다. 1. 먼저 CT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야 한다. CT는 전류를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통상 큰 전류를 작은전류로 바꿔주기 위하여 사용한다. 전기사용량을 '계측'하거나, 고장이 발생 한 것을 'pick up'하기 위해서는 전류값을 측정해야 하는데, 계통의 큰 전류를 바로 측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때문에 수십 ~ 수백 배로 적은 전류.. 2023. 7. 2.
계통 고장시 전류와 전압의 변화(전류위상 아주 쉽게 이해하기) 우리나라 전력계통에 고장이나면 전압과 전류는 어떤 변화양상을 가질까? 학부시절 매우 궁금했던 내용이었는데 지금에서야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그 당시에는 명확하게 이해가 가지 않았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일반적으로 고장이 발생하면 전압은 줄어들고, 전류는 커진다. 고장난 지점으로 전압전하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전압은 줄어들고, 이 빠져나가는 전하를 메꿔주기 위해 더 많은 전하들이 이동 해 올 것이다. 이것이 바로 전류가 커지는 이유이다. 그렇기에 고장지점에서 멀어지면 멀어질 수록 전압과 전류의 변화는 적다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AC 계통을 사용하고 있다. AC는 DC와 달리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역할을 하는 저항체가 있는데, 이 두가지 저항체가 전류를 느리게 만들기도 하고,.. 2023. 7. 1.
(엔화 900원 역대급 하락)엔화와 달러와의 관계, 일본 엔화 투자 준비해야 하는 이유 오래전 내 기억에 달러도 엔화도 모두 1,000원 정도 했던 것 같다. 어린 마음에 미국과 일본은 천 배나 잘 사는구나라고 생각했던 기억이 있다. 요즘 달러는 1,300원으로 그 당시보다 가치가 절상되었는데 엔화는 900원까지 가치가 절하되었다. 최근에는 2015년 6월 이후 8년여 만에 엔화 900원대가 무너지기도 하였다. 그에 따라 달러엔 환율은 150에 육박한다. 1. 엔화가치가 하락하는 이유 : 쉬운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일본 중앙은행에서 낮은 금리로 엔화를 시장에 풀어 내고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가 코로나의 후유증올 인플레이션과 싸우고 있는 요즘 일본 중앙은행은 낮은 수준의 현재의 제로 수준 금리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화를 보유해도 얻을 수 있는 기대이자가 낮으니 화폐가치가 낮아진 셈이.. 2023. 6. 27.
버번 위스키 3대장의 모든 것 이것만 알면 된다. 8년 쯤 전에 미국에서 잠깐 지낸 적이 있다. 그 당시 외국인으로서 느꼈던 미국은 모두의 꿈을 실현시켜주는 기회의 땅 같았다. 대학가엔 토종 미국인들의 비율보다 아시아, 유럽, 히스패닉, 인도에서 몰려든 유학생들이 많았고 모두 한데 모여 세계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변화들을 주제로 스몰토킹을 즐겼다. 당시 오바마 대통령의 미국이 중심이 되어 범세계적인 (여러형태의)자유수호에 앞장 섰음에 캡틴아메리카, 천조국등의 수식어가 너무 잘 어울렸다는 기억이다. 그래서 2016년에 트럼프 정부의 출범 이후 시작된 미국 자국주의가 코로나를 겪으며 강해진 요즘이 난 좀 씁쓸하다. 버번 이야기를 하면서 미국이야기를 장황하게 적은 이유가 있다. 바로 버번 위스키는 미국에서만 증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스코틀랜드가 스카치 위.. 2023. 6. 26.
Y결선 델타결선, 선간전압 상전압 쉽고 2가지로 완벽하게 이해하기 전기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하물며 전압이나 전류, 위상, 주파수 같은 파라미터(parameter)도 볼 수 없다. 그래서 Y결선과 델타결선, 선간전압과 상전압, 선간전류와 상전류 등의 기본개념을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먼저 '상'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어야 한다. 전기에는 '중심'이 있다. 이 중심을 '중성선'으로 접지와 연결하고, A,B,C상(3상)과의 전압을 각각의 상전압이라고 명칭한다. 이에 반해 선전압은 A,B,C상에서 인출된 각각의 '선 간'에 걸리는 전압이다. Y결선에서 Va(상전압)과 Vab(선간전압)는 크기와 위상이 다르다. 이 내용과 관련한 그림은 많이 봤을 것이다. 다만, 이번에는 아래의 내용을 토대로 본인이 직접 위상차를 그려보면서 이해하길 바란다. 1. Va(상.. 2023. 6. 25.
반응형